본문 바로가기
한의/황제내경소문

15. 옥판론요

by Viscioushappiness 2023. 2. 7.

 

玉版論要篇 第十五

第一章

黃帝問曰 余聞≫≪奇恒, 所指不同, 用之柰何?

歧伯對曰 揆度, 度病之淺深也; 奇恒, 言奇病也.

請言道之至數, 五色≫≪脈變≫≪揆度≫≪奇恒, 道在於一.

神轉不回, 回則不轉, 乃失其機.

至數之要, 迫近以微, 著之玉版, 命曰合玉機.

第二章

容色見上下左右, 各在其要.

其色見淺者, 湯液主治, 十日已;

其見深者, 必齊主治, 二十一日已;

其見大深者, 醪酒主治, 百日已;

色夭面脫, 不治, 百日盡已, 脈短氣絶死, 病溫虛甚死.

色見上下左右, 各在其要.

上爲逆, 下爲從.

女子右爲逆, 左爲從; 男子左爲逆, 右爲從.

, 重陽死, 重陰死.

第三章

陰陽反他, 治在權衡相奪, 奇恒事也,揆度事也.

 

搏脈痺躄, 寒熱之交.

脈孤爲消氣, 虛泄爲奪血. 孤爲逆, 虛爲從.

奇恒之法, 以太陰始.

行所不勝曰逆, 逆則死; 行所勝曰從, 從則活.

八風四時之勝, 終而復始, 逆行一過, 不復可數, 論要畢矣.

 

 옥판론요편 __ 망진, 맥진 그리고 고맥 __

 

옥석에 새긴 편이란 뜻이며, 망진 맥진 등의 긴요한 가르침을 설명하고 있다. 태소경 제15권 색맥진

 

황제께서 물으셨다.

"규도", "기항"의 각 서적에 기술된 진단법에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그러한 진단법을 어떻게 쓰면 좋을 것인지?

 

기백이 대답하였다.

"규도"는 주로 질병의 경중에 대하여 33양경의 진단법을 말하고 있으며, "기항"에서는 주로 기경이나, 락 등의 병변의 진단법이 기술되어 있으므로 이들은 관점이 다릅니다.

그래서 약간의 차이가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이들 진단법의 요점을 말씀 드리면, 안면의 색택과 촌구맥의 변화 등의 원칙이 양쪽에 있어서 동일합니다.

인체의 신기라는 것은 어느 때나 순조롭게 운전되어야 하며, 반대의 작용을 허용하지 않습니다. 만약 역전하는 일이 생기면 신기나, 생명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작용을 할 수 없으므로 그 기능을 상실합니다.

이들의 요점은 참으로 양자가 흡사하고 미묘하므로 이를 옥석에 새겨서 "옥판"이라고 명각하여 "옥기편"과 함께 한쌍으로 삼고자 합니다.

대저 인간 체내의 이상은 모두 안면의 상하 좌우에서 일정한 부위와 색택을 가지고

나타난다는 일정한 규칙이 있습니다.

그 색택의 발현이 표면에 얕게 나타났을 때는 아직 경증이므로 쌀의 미음 등의 치료법으로 10일 가량이면 나을 것입니다.

그 색택이 약간 깊은 부위에 나타났을 때는 각종 약물을 배합한 처방을 요하며, 21 일 가량이면 나을 것입니다.

그 색택이 아주 깊은 부위에 침수되어 있을 때는 탁주 등의 약용주로써 치료하여 100일 가량이면 낫게 됩니다.

만약 그 색택이 이상이 있고, 정기가 빠진 듯이 생기 없는 안색을 하고 있는 환자는 낫지 않습니다.

100일 가량으로 죽게 될 것입니다.

 

이에 비하여 맥박에 관해 말씀 드리면, 맥박이 짧고, 연한 기미가 없을 때는 사증이며, 발열하여 목이 마르고, 오한이 없는 온병으로서 맥박의 형태가 매우 공허할 때도 역시 사증이므로 조심해야 합니다.

그런데 안면의 발색 부위는 상하 좌우로서 각기 정해진 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그 발색의 진행 방향이 윗쪽으로 오르고 있는 것은 그 병이 역이라고 불리우는 상태에 있으며, 질이 나쁜 병임을 가리키고, 이와 반대로 아랫쪽으로 내리고 있는 것은 그 병이 종이라고 불리우는 상태에 있으며, 질이 좋은 병임을 가리키고 있습니다.

여자는 오른쪽으로 진행하는 것을 역으로 보며, 왼쪽으로 진행하는 것을 종으로 봅니다.

남자는 왼쪽으로 진행하는 것을 역으로 보고, 오른쪽으로 진행하는 것을 종으로 봅니다.

그것은 남자의 경우는 원래 남자가 양인데, 병이 양인 왼쪽으로 진행하여 나타나면 양이 겹쳐서 사증으로 됩니다.

마찬가지로 여자의 경우는 원래 여자는 음인데, 병이 음인 오른쪽으로 진행하여 나타나면 음에 음이 겹쳐서 사증으로 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음양의 작용이 생명을 유지해 나가기 위해 필요한 조화에 배반했을 때 병이 생기므로 장부 혹은 경맥의 병이든, 기경 혹은 낙의 병이든간에 치법의 원칙은 음양의 균형을 얻기 위해 보사를 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기항""규도"에 서술된 내용이 약간 차이가 있는 것처럼 보여도 결국 원칙 자체는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맥박이 강한 것은 수족의 불수를 일으키는 것이며, 한과 열이 마주치는 맥상입니다.

촌구에만 맥박이 나타나는 것은 음기가 소진되었을 때의 맥상이며, 척중에만 나타날 때는 양기가 없어진 것입니다.

이들은 모두 고맥이라 합니다.

맥이 연하면서 게다가 큰 공맥 즉 파()를 만지는 것처럼 겉은 단단한 것 같지마는, 약간 누르면 쑥 들어가는 중공의 맥은 실혈의 맥입니다.

이들은 모두 주의해야 할 위험한 맥상인데, 그 중에서도 고맥은 질이 나쁘고, 망혈의 맥은 처치 방법 여하에 따라서는 다소 여유가 있습니다.

장부 혹은 경맥의 병이든, 기경 혹은 낙의 병이든간에 그 진단의 출발점은 태음경의 촌구맥을 살핍니다.

그 까닭은 장부 혹은 경맥의 병은 물론이지만, 기경 혹은 낙의 병이라도 음양 12경맥에 이상이 있을 때는 기경에 들어가거나, 낙에 들어가거나 하므로 역시 촌구맥을 진단의 기준으로 삼아야 합니다.

5행의 상극인 경우에 있어서도 이기지 못하는 방향에서 나타나는 것은 역이며, 예컨대 목에 금이 나타나는 경우는 사병입니다. 이에 반해서 이기는 방향에서 나타나는 것은 순이므로 예컨대 목에 토가 나타나는 경우는 사병이라고 할 정도는 아닙니다.

8 방향에서 불어오는 계절의 바람이나, 4계절이 바뀜으로써 생기는 5행의 왕기는 춘의 목, 하의 화, 하절 중앙의 토, 추의 금, 동의 목으로 차례를 따라서 서로 위치를 교체하여 그 주가 되는 계절 사이에 인체에 영향을 주고는 계절과 함께 끝나며, 또 계절이 돌아오면 다시 시작되는 식으로 되풀이하는 것입니다.

그리하여 인체의 경우와 같이 만약 한번 순서가 역전되는 것과 같은 기후 이변이 생기면 그것이 만물에게 주는 영향은 한없이 다대해집니다.

이 사실도 잘 알아 두지 않으면 정확한 진단을 기할 수 없습니다.

 

'한의 > 황제내경소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 맥요정미론  (0) 2023.02.08
16. 진요경락론  (0) 2023.02.08
14.탕액요례론  (0) 2023.02.06
13.이정변기론  (0) 2023.02.05
12.이법방의론  (1) 2023.02.04

댓글